slider01 slider02 slider03
제     목 2005년 3월 12일 강독회 토론내용  
  
작 성 자 연구이사  
  
작 성 일 2005/06/07 10:42:07  
  
내      용 2005년 3월 12일 강독 
논문: Jensen, Michael & Catherine Ringen. (2002). Laryngeal features in German. 
강독: 성은경 
토론: 서미선 

  이 논문은 [voice] 대신 [spread glottis]로 대체하는 것이 독일어의 stops(b, d, g)의 설명에 적절하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 근거는 Phonetics의 자료를 통해서 제시하고 있다. 강독에 관련된 질문 및 토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tag/의 ‘g’는 어떻게 발음하는가? 내파인지 외파인지? 
→ 둘 다 발음하는 것으로 안다. 확인을 해 봐야 하겠지만, 자유변이형으로 판단된다. 

2. *coda[voice]는 왜 제시하지 않았는지? 입력형에서의 [spread glottis]의 제시가 너무 인위적이다. [voice]와 [spread]의 대립이 과연 적절한가? 
→ 진정한 voicing이 없기 때문에 [spread glottis]를 선택한 것이다. 

3. p.202에서 VOT는 왜 제시했는지? 이 수치가 무엇을 말하는가? VOT와 voicing은 관련되어 있지 않다. 
→ 이 논문에서는 voicing만을 중요한 근거로 삼았다. 같은 voiceless가 VOT의 차이에 의해서 spread glottis의 구분을 하고 있다. 

4. p.205에서 E[k]e가 가능한 것인가? 
→ 인식에 관한 것이지만 가능하다. 특히 closure duration이 길어지면 가능하다. intervocalic이 아니라 nasal 앞에서 실험했다면 더 명확했을 것이다. 

5. 국어는 voicing이 아니라 tense가 기능을 한다. 그러나 독일어는 voicing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bund/bunt의 차이는 어떻게 될 것인가? 
→ 이 둘의 차이는 모음의 길이에 의해서 인식된다고 한다. 독일 사람은 그 차이를 인식한다고 한다. 

6. p.207의 (22)의 예들은 Lexical Phonology와 상관이 있다고 본다. 이 개념으로 설명하면 아주 간단하게 된다. 이 논문의 저자도 같은 방식으로 cycle1에서 적용되는 것처럼 설명하고 있다고 본다. 
→ terminal devoicing은 예외가 없다. 다만 그 단계가 cycle1이 아니라, cycle2, 3단계에서만 가능하다. 
  medial, non-spread glottis일 때 ‘Handlung’에서 passive voicing이 일어난다. 반면에 ‘Handlich’에서는 그렇지 않다. 그러므로 [voice]만으로 설명이 불가능하다. 즉, [spread glottis]만이 적절하다. 

7. 이 논문은 독일어의 폐쇄음이 음성적으로 어떻게 실현되는가를 논의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OT 분석에 문제가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input의 설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가 있다. richness of the base가 고려되지 않았다. 
2) intervocalic에서 voice/voiceless에 문제가 있다. p.205의 (21)에 passive voicing 제약을 뺐는데, 넣으면 결과가 다를 수 있다. 

8. p.197의 (16)에서 [d]의 기저형으로 /t/를 설정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 
→ 다른 언어는 [voice]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에 독일어에서는 [spread glottis]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tip/과 /dip/의 어두에서의 구분은 [spread glottis]가 더 낫다. 
→ 그러나 영어나 슬라브어는 그렇지 않고 [voice]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이 문제는 우리 로마자 표기법에도 관련이 있다. 우리는 독일식을 따르고 있다고 하겠다. 

정리: 연구이사 조성문 (한양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