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4.27 10:08
1. 논문을 최초 투고하실 때에는 저자 관련 정보를 기입하지 마시고, word와 PDF 파일을 jams (http://phonology.jams.or.kr))에 탑재해 주시길 바랍니다. (문의: 편집위원장 윤관희 교수, ghyun@daegu.ac.kr)
-----------------------------------------------------------------------------------------------------------------------------------
학회지 투고논문 업로드시 세부 주의사항
1) 저자 정보 삭제
투고논문 첫 페이지, 마지막 페이지 (그리고 머리글)에 있는 저자정보(저자명, 소속)를 삭제하여 주십시오.
특히, 첫 페이지 초록 시작부분에 있는 저자명과 마지막 부분에 있는 저자 소속도 꼭 삭제해 주십시오.
2) 페이지 번호 입력
3) pdf 파일로 변환(word 파일 필수 첨부)
4) 편집위원장은 jams를 통하여 투고본을 수령하면 즉시 확인 메일을 보내는 바, 만일 2~3일이 지나도록 답장이 없다면,
투고메일이 업로드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메일로 다시 확인 요청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
2. 인쇄소에서 출판 작업시 발생하는 파일 호환 문제로 인하여 논문파일의 편집 작업은 .docx가 아닌 .doc(97-2003호환문서)로 작업됩니다. 파일을 되도록 변환하여 보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3. 2016년 9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논문 투고 양식이 변경되었습니다.
변경된 사항을 파일로 첨부합니다.
4. 음성기호
1) Word 프로그램 내 문자표 (글꼴: Times new roman)를 이용하시어 입력하시길 권장합니다.
2) SIL IPA 93, Charis SIL 등으로 입력하신 경우, 음성기호를 블록선택 하신 후,
사용하신 font가 지정되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출판시, 흑백으로 인쇄되는 것을 고려하시어, 그래프 및 그림을 선명하게 드러나는지 확인부탁드립니다.
6. 표양식
Table 1, Table 2 대신, (1), (2)… 번호로 작성하신 표는 타블로와 같은 양식으로 편집됩니다. (가로폭을 채워 편집됩니다)
6. 참고문헌의 양식에 따라 저자의 이름을 Fullname으로 작성해 주시길 바랍니다.
7. <동일저자의 논문이 여러 편일 때>의 표기
Steriade, Donca. 1993. Closure,
release and nasal contours. In Phonetics and Phonology,
Volume 5: Nasals, Nasalization and the Velum,
125-153. San Diego: Academic Press.
_______________. 1996. Paradigm uniformity and the phonetics-phonology boundary.
Paper presented at the fifth conference on Laboratory Phonology. Evanston,
Illinois.
참조 1 동일한
공동저자의 논문이 여러 편일
때에도 이와 같습니다.
Cho, Taehong and Patricia A. Keating. 2001. Articulatory
and acoustic studies on domain-initial strengthening in Korean. Journal of
Phonetics 29, 155-190.
_____________. 2009. Effects of
initial position versus prominence in English. Journal of Phonetics 37,
466-485.
참조 2 공동
저자 중 한 저자의
논문이 여러 편이더라도 공동
저자는 모두 밝혀 적습니다.
Cho,
Taehong. 2005. Prosodic strengthening and featural enhancement: Evidence from
acoustic and articulatory realizations of /A, i/ in English.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33, 121-157.
Cho, Taehong
and Patricia A. Keating. 2001. Articulatory
and acoustic studies on domain-initial strengthening in Korean. Journal of
Phonetics 29, 155-190.